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가공 식품, 건강 식단이어도 2형 당뇨와 체중 증가를 부른다

by jminpapa 2025. 8.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당뇨전문블로그 혈당프리입니다.

논문 출처

Ultra-processed Foods and Diet Quality in Association With Long-term Weight Change and Progression to Type 2 Diabetes Among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A Prospective Study (2025년 8월 18일, 미국 당뇨병 학회 학술지 "Diabetes Care" 게재)

 

초가공 식품: 우리가 흔히 먹는 가공 식품 중에서 공장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만들고, 설탕, 소금, 나쁜 기름, 그리고 다양한 식품 첨가물이 많이 들어간 식품들을 말해요. 과자, 빵, 탄산음료, 즉석식품, 인스턴트 식품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초가공 식품은 칼로리가 높고 영양가는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2형 당뇨병: 우리 몸이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만들지 못해서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만성 질환입니다. 잘못된 식습관과 비만이 2형 당뇨병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이 연구는 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장기적인 체중 변화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냈습니다. 특히 임신성 당뇨병을 겪었던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요. 흥미로운 점은,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더라도 초가공 식품 섭취가 늘어나면 체중이 증가하고 2형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연구입니다. 혈당 관리와 2형 당뇨병 예방을 위해서는 초가공 식품 섭취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 쉽게 풀이

연구 결과, 초가공 식품 섭취가 많을수록 장기적으로 체중이 더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초가공 식품을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은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체중 증가를 보였습니다. 더 나아가, 꾸준히 초가공 식품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2형 당뇨병 발생 위험도 크게 높아졌습니다. 놀랍게도, 평소에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에게서도 초가공 식품 섭취가 늘어나면 이러한 체중 증가와 2형 당뇨병 위험 증가 경향이 그대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단순히 전체적인 식단 품질뿐 아니라, 초가공 식품 그 자체가 혈당 관리당뇨병 예방에 독자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연구가 우리에게 주는 의미

이 연구는 2형 당뇨병을 예방하고 혈당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건강한 식단"을 먹는 것뿐만 아니라, 초가공 식품 섭취를 의식적으로 줄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아무리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고 운동을 열심히 해도, 초가공 식품이 식탁에 자주 오른다면 당뇨병 위험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경고입니다. 특히 당뇨 가족력이 있거나 임신성 당뇨를 겪었던 분들에게는 초가공 식품을 멀리하는 것이 당뇨병 예방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혈당프리 블로그에서 항상 강조하는 것처럼, 우리 몸에 어떤 음식을 넣느냐가 혈당 관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초가공 식품을 멀리하는 것이 건강한 식단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논문 요약

목표: 임신성 당뇨병 이력이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초가공 식품 섭취가 장기적인 체중 변화 및 2형 당뇨병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 연구 방법: 1991년부터 2021년까지 간호사 건강 연구 II(Nurses' Health Study II)에 참여한 임신성 당뇨병 이력이 있는 여성 4,207명을 대상으로 4년마다 식품 섭취 빈도 설문지를 통해 초가공 식품 섭취량을 평가하고, 체중 변화 및 2형 당뇨병 발생률을 추적 관찰했습니다. 식단 품질은 대체 건강 식사 지수-2010(AHEI)을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 초가공 식품 섭취 증가가 더 큰 체중 증가와 연관되었으며(P-trend < 0.0001; 1사분위수 vs. 4사분위수: 0.52kg vs. 1.65kg), 습관적인 초가공 식품 섭취는 2형 당뇨병 위험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초가공 식품 섭취가 높을수록 2형 당뇨병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은 전반적인 식단 품질(AHEI 점수)이 높은 여성에게서도 지속되었습니다. 초가공 식품 섭취가 안정적이거나 감소하고 식단 품질이 향상된 여성만이 4년 체중 유지를 달성했습니다. 결론: 임신성 당뇨병 이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초가공 식품 섭취는 체중 증가 및 2형 당뇨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식단 품질이 좋더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따라서 초가공 식품 섭취를 줄이는 것이 2형 당뇨병 예방과 혈당 관리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혈당프리 블로그는 여러분의 건강한 혈당 관리를 응원합니다.

원문 URL: https://diabetesjournals.org/care/article/doi/10.2337/dc25-0700/163245/Ultra-processed-Foods-and-Diet-Quality-in

반응형